2024/01/14 4

낙동강에 '녹조 독소' 없다는 환경부의 주장, 사실일까 240114

강물은 흘러야 한다는 것이 기본인 것을..... 국가 환경을 지키는 환경부란 것이 과연 환경을 아는 것인지???? ---------------------------------- 2022년 말 낙동강 변 공기 중 녹조 독소 검출 이후,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올해도 낙동강의 공기 중 녹조 조사를 진행했다. 올해 여름은 예년에 비해 많은 강수량으로 전반적으로 녹조의 번성이 느린 한해였기에 조사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웠으나, 실제 녹조의 위협은 강물과 그 주변이 아닌, 생각 이상으로 우리의 생활 공간 깊숙이까지 침투해 있었다. 낙동강 공기 중에서 또다시 발견된 녹조 독소 이번 조사에서도 낙동강 주변의 공기 중에 녹조 독소가 발견되었다.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환경단체, 전문가들이 2023년 6월부터 10월에 걸쳐 ..

일상 이야기 2024.01.14

정부, 의대 증원 규모 발표 임박…2천명 넘을 수도 240114

정부가 드디어 의대 정원 확대를 진행하는 가 보다. 어렵게 추진하는 만큼 좋은 성과가 있었으면 좋겠고 코로나로 드러난 것과 같이 수도권에만 편중되지 않도록 지방 공공의료 확충과 제대로된 매뉴얼과 시스템이 구축되기를 바래본다. 2014. 1. 14. 연합뉴스 기사 ============================= 정부, 의대 증원 규모 발표 임박…2천명 넘을 수도 | 연합뉴스 (yna.co.kr) 정부, 의대 증원 규모 발표 임박…2천명 넘을 수도 | 연합뉴스 정부가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2천명대로 늘릴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조만간 증원 규모를 확정한 뒤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 www.yna.co.kr

일상 이야기 2024.01.14

땔감 (4) - 한손톱 체인 이탈 240114

연속적인 작업으로 몸에 무리가 생긴 듯하여 오늘은 좀 쉴까하다가 오후 늦게부터 비 예보가 있어 장비를 챙겨 다시 나간다. 위에서부터 절단 작업을 해 나가면서 다시 밭에까지 내려보내는 작업이 쉽지않은데 오늘은 강한 바람까지 불어 잠깐 멈추면 땀도 식어 한기를 느낀다. 경사진 곳이라 무거운 허스크바나 톱 대신 움직이기 쉬운 중국산 한손톱을 대부분 사용했는데 전날과 마찬가지로 체인 이탈 현상이 생긴다. 오늘도 점심시간을 건너뛰어 허기도 지고 힘도 들어 작업은 여기서 마무리 하고 집으로 가지고 와 커버를 열어보니 다행히 체인은 이상이 없다. 이 중국산 한손톱이 가볍고 시동 잘걸리고 절단력도 좋아 아주 잘 사용하고 있는데 체인 이탈 현상이 두번이나 생기니 중국산 톱의 한계인가?? 아니면 내가 잘 못 사용한 탓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