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이야기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미국 긴급승인 국내 구매계약 검토 => 치료제 처방 기준이나 제대로 수립하는 것이 우선 아닐까?? 210925

無心이(하동) 2021. 9. 26. 00:32

미국에서 먹는 치료제를 긴급 승인한다니 우리나라에서도 선 구매 계약을 검토한다는 기사다.

백신 구매에 문제가 생기니 먹는 치료제에서는 미리 구매를 준비하는 가 보다.

 

한번의 실패를 사전 준비하겠다니 그것을 막을 이유는 없지만

한 두가지는 짚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미국에서 긴급 승인 받은 먹는 치료제가 아직 임상이 안 끝나 안전성 부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도

선 구입을 하나???  => 상황을 봐 가면서 구입을 하는 백신 때와는 다른 기준??

 

우리나라에서 글로벌 임상 3상을 마치고 정식허가된 항체치료제가 있음에도 안전성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먹는 치료제를 선 구입해야 하는 이유는??

그런 안전성이 미 확인된 부분에 대해 국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우리 식약처/약심위가 안전성을 판단할 능력이 있는 가??

 

현재의 우리나라 치료제 처방 기준이나 지침도 제대로 안되어 있는 것 같은데

먹는 치료제는 가정에서 사용할 것임에 어떤 치료기준과 지침을 운용할 것인 지??

 

현재 백신 접종 후에도 사망자 발생에 대책이나 선 조치들도 제대로 수립이 안되어 있는데

안전성이 미 확인된 먹는 치료제에 대해셔는 ???

 

아무래도 정부 방역당국이

백신 도입 과정에서 뜨거운 맛을 보고 헛 수를 두는 느낌이다.

 

먹는 치료제는 당연 개발이 되어야 하고 꼭 필수가 되겠지만

현재로서는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고

그래도 우리나라에 치료제가 없다면 문제이지만 있음에도

병원이 부족해 먹는 치료제가 어쩌구 저쩌구 헛 소리 하지말고

 

확진자에게는 생활치료센터에서 

기존 검증된 우리나라 항체 치료제를 무조건 처방하여

아까운 희생자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전담병원으로 넘어가는 확진자를 줄여 병원과 의료진의 부하를 줄이는

가장 간단한 대책부터 수립 실시하는 것이

제대로 된 대책이 아닐까???

 

 

 

9.25일 KBS 뉴스

===========================================================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다음달 미국서 긴급 승인..정부, 선구매 계약 검토

신민혜 입력 2021. 09. 25. 21:32 수정 2021. 09. 25. 22:16

 

 

[앵커]

코로나 백신은 코로나에 감염되지 않기 위해서 미리 접종하는 거고, 코로나 치료제는 말 그대로 감염된 이후에 치료를 위해 복용하는 약을 말합니다.

 

먹는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 지금 각국에서 연구가 한창입니다.

 

당장 상용화를 말할 단계는 아니지만 살펴볼 부분은 있습니다.

 

신민혜 의학전문기자가 전하겠습니다.

 

[리포트]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개발은 감염병에 대한 공포를 줄이고 집에서도 간편하게 치료가 가능하게 해 일상 회복으로 가기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현재 미국 MSD와 화이자, 스위스 로슈사에서 임상 3상을 진행하며 가장 앞서고 있습니다.

 

중간 시험 결과 초기 증상에 복용하면 중증으로 진행되는 걸 막고, 치료 기간도 줄어드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안전성 문제도 아직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가장 출시가 빠를 걸로 예상되는 건 MSD사의 '몰누피라비르'입니다.

 

'몰누피라비르'는 코로나19 환자 시험 외에도 최근에는 감염 예방 효과를 보기 위해 확진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 1,300여 명에 대해서도 임상 3상을 시작했습니다.

 

'몰루피라비르'는 바이러스 복제 과정에 오류를 일으켜 스스로 사멸하도록 하는 원리인데, 하루 2차례, 닷새 동안 복용이 기본입니다.

 

이르면 다음 달 안에 미국에서 긴급 사용 승인이 날 걸로 제약사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12억 달러, 우리 돈 약 1조 4천억 원에 '몰루피라비르'를 선구매했는데 수치상으로는 170만명분에 불과합니다.

 

우리 정부도 먹는 코로나 치료제에 362억 원의 예산을 배정한 상태입니다.

 

여러 글로벌 제약사와 협의를 계속하고 있는데 선구매 계약도 검토 중입니다.

 

[정기석/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아직까지 (임상)3상이 끝난 게 없고, 또 그 효과에 대해서 확실치 않은데다가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는 있겠다 그렇게 봅니다."]

 

국내 제약사들도 11종류의 먹는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인데, 단기간 내 출시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먹는 치료제 비용은 90만 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정부는 치료제 비용을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신민혜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채상우

신민혜 기자 (medical@k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