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지성아빠의 나눔세상 카페의 글을 가져온 것임 (http://cafe.naver.com/kimyoooo)
=========================================================================================================
저의 경우 위 그림과 같이 탱크2와 같은 고도 그보다 위 고도에 있는 하우스에 급수를 해야 합니다.
탱크 1은 1톤 탱크 탱크2는 2톤 탱크 입니다.
지하수는 지표면에서 약 5~18m정도 수위를 유지하며 지하수 구멍에서 약 15m떨어진 곳에 PA-630이라는 펌프를 사용해서 탱크1에 1차 급수를 합니다.
탱크1,2에는 아래 그림과 같은 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있습니다. 파란색 센서는
물이 찰 때까지 on 상태를 유지하며, 주황색 센서는 물이 차야 on 상태를 유지 합니다.
지하수에서 탱크 1로 급수하는 펌프는 파란색 센서를 이용해서 펌프 전원을 on/Off 하도록 하면 탱크 1은 항상 만수위 상태를 유지하며, 만수위 상태가 되면 펌프 동작이 자동으로 끊기게 됩니다. (실제 배선은 펌프 플러그가 꼽히는 콘센트와 전원에 꼽을 플러그(일반 연장선 상태)에 전원선 하나를 끊어 스위치연결하듯이 센서에 연결해서 센서를 스위치로 사용)
탱크 1에서 탱크2로 급수하는 탱크는 탱크1의 만수위 센서(주황색)가 만수위가 되고, 탱크2의 급수센서(파란색)가 on (탱크가 비어있는 상태)되었을 때 동작하도록 합니다.(실제 배선은 펌프 플러그가 꼽히는 콘센트와 전원에 꼽을 플러그(일반 연장선 상태)에 전원선 하나를 끊어 스위치연결 하듯이 탱크1 만수위 센서와 탱크2 빈탱크 센서를 직렬로 연결해서 센서를 스위치로 사용)
탱크 2에서 외부로 급수하는 펌프는 탱크 2의 만수위 센서(주황색)가 동작(만수위 ) 할 때 급수 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실제 배선은 펌프 플러그가 꼽히는 콘센트와 전원에 꼽을 플러그(일반 연장선 상태)에 전원선 하나를 끊어 스위치연결하듯이 센서에 연결해서 센서를 스위치로 사용)
여기에 사용하는 센서는 물위에 뜨는 상태에 따라 동작하기 떄문에 설치후 각 센서 동작 상태에 따라 길이를 조정해야 합니다.
----------- 끝 -------
센서 전류 용량 : 센서 전류 용량이 작기 때문에 PA-630보다 소비전력이 큰 경우 마그네트 스위치나 릴레이를 사용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누전: 위 경우 센서에 220V전원이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누전에 대비해 누전차단기를 꼭 사용하고 센서나 전원선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유의 해야 합니다..
'집짓기·전원주택·임야개발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야에 농장 만들기 - 임간 재배의 개념 잡기 1~5 (0) | 2016.06.08 |
---|---|
횡천 농막 방문 160605 (0) | 2016.06.05 |
산에서 살아보니 (0) | 2016.06.02 |
집 짓는 즐거움 - 20 - 쫄쫄쫄 흐르는 실개천 물 끌어오는데 성공 할수 있을까?...... (0) | 2016.05.31 |
(시골살이 노하우) 주말주택 외부 부동전 스위치 설치(참고용) (0) | 2016.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