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아름다운 동행님의 블러그에서 가져온 글임(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micuri00&from=postList&categoryNo=74)
=================================================================================================================================
|
[건축친구들 - 상가 주택 건축이야기] 한전불입금, 전기인입비용, 전기요금, 전기사용신청에 대하여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요 다시 여름이 온것 처럼 푹푹 찝니다. 점심은 시원한 물회와 맛있는 매운탕으로 했네요 ^^ 원래 철근 배근에 대해서 쓸려고 했는데 한전불입금에 대해서 문의하신 분이 있어 오늘은 한전불입금, 내일은 상수도인입비, 그 다음엔 도시가스 인입비에 대해 쓸까해요 ^^ 매일 한가지씩 쓰기가...쉽지 않아서...오늘은 뭘 쓸까 고민스러운데 잘되었습니당... 철근배근에 대해서는 제가 자료 좀 더 준비해서...올리려고요...좀만 더 기둘려 주세용... ^^ 공사계약을 하시면 항상 별도 항목이 있습니다. 바로 한전불입금이라 불리우는 전기인입비용이 있지요 전기를 쓰려면 집까지 전기를 끌어와야 겠죠 전기사용신청은 건축주 이름으로 해야 합니다. 실 사용자가 신청을 해야 전기 공급을 해주고요 공사업체는 가설전기를 신청해서 공사용 전기로 사용 합니다. 그래서 건축주가 신청하시게 건축주 앞으로 고지서가 발행 됨으로 시공자나 건축업자가 대신 납부를 할 경우 증빙 처리가 안되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건축주가 직접 납부 해야 하는것 입니다. 그래서 별도 입니다. 마찬가지로 수도인입, 가스인입도 같은 이유로 건축주가 납부 하는거죠 ^^ 대지에 인입만 해주면 나머지는 공사 업체에서 알아서 건물과 연결합니다. ^^ 요즘은 지중인입이냐 지상인입이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 집니다. 택지지구나 도심지 정비가 된 지역은 거이다 지중매설이 되어 있죠 전봇대가 있으면 지상인입 해야하고 전봇대가 없음 지중매입 입니다. 간단하죠 ^^ 솔찍히 지상인입은 전봇대 날라다니고 전선 날라다녀서 도시미관을 매우 많이 해치죠 앞으로는 거이다 지중 매입이 될것 입니다. 그러니 땅파실때 정말 조심 하셔야 겠죠...잘못건드심 대형사고,.. 그럼 한전불입금 , 전기인입비용 알아 보겠습니다. 시공자나 건축업자가 한전불입금으로 이야기 하는 것이 바로 표준시설부담금 입니다. 지중공급은 땅속에 전기관로가 있는 지역이고 공중공급은 전봇대 전기관로를 이용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보통 주택은 3kw 에서 5kw를 많이 신청하는데...요즘은 전기사용용품들이 많아지고 에어컨 등 가전제품이 많아서 넉넉히 신청을 해야 합니다. 전기 작업자와 잘 협의 하셔서 각 가구별 전기용량을 산정해야 합니다. 예를들면 지중공급 상가주택 5가구, 1상가 상가주택 4층 주인세대 다락이 있는 경우에는 바닥전기난방으로 인한 전기 소모를 필히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안그러면...차단기 계속 떨어집니다... 10kw 신청하는 세대도 있었습니다. 위 단가표 금액에다 투룸은 5kw *4가구 = 527,000*4=2,108,000원 쓰리룸 1가구 10kw = 527,000+ (123,000*5)=1.142.000원 1층 상가 10kw = 527,000+ (123,000*5)=1.142.000원 총 4,392,000원 대략 이런식으로 계산 압니다. 전기 용량계산은 필히 전기업체와 협의하셔서 약간 여유있게 신청하셔야 합니다. 나중에 차단기 떨어져서 증설하려면 돈이 또 많이 들어갑니다. ^^ 택지지역은 전기공급이 나중에 될수 있어 문제가 될수 있으니 미리 미리 전기 신청을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전불입금 표준시설부담금은 전기사용신청을 하면 한전에서 계산을 해서 고지서를 발급해주니 그때 정확한 금액이 나옵니다. 위표는 대략적인 참조이니...이정도 나오겠구나 예상하시라고 올려 놓은겁니다. ^^ 직접 계산하고 그럴필요는 없어요 ^^ 거리시설부담금은 지상 전봇대로 부터 설치시 200m가 기본거리 이며 지중으로 부터 설치시에는 50m가 기본 이며 기본거리 초과시에는 별도의 거리시설부담금을 납부 하셔야 합니다. 대부분 인근에 전봇대나 지중공동구가 있으면 거리시설부담금은 없는데 산골이나 좀 외진곳은 꽤 큰 비용이 들어갑니다. ㅠ,.ㅠ 전기사용신청 방법인데요 전기공사업자가 알아서 다 해줍니다. 건축주는 도장만 찍어주고 전기용량만 확정해 주면 알아서 다 해주는데 대략 어떤식으로 하는지는 알으셔야 하기에...알려 드리는것이니 그냥 아...이런거구나 하시면 됩니다. 위 서류 나 양식을 보고 싶으시면 한전 홈피 연결해 놓을테니 위에 신청서 누르심...연결되거나 아래 주소로 가심 됩니당. http://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F/A/CYFAPP0010102.jsp?sn=1 각 지역마다 사업소가 있는데 거기다 접수 하는겁니다. ㅁ문의사항이나 궁금점이 있다면 직접 전화하셔서 문의하심 빠르겠죵 ^^ http://cyber.kepco.co.kr/kepco/CU/CUIBPP002/main.do 기계식전기계량기 보는법 전자식 전기계량기 보는법 혹시 몰라 전기세 대략 얼마 나오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까봥... 주택용 전기와 상가 일반전기 요금 계산 단가 알려 드려요 ^^ 전기요금 계산하기 복잡하니... 고지서 보심 아실꺼에요 하지만 전기요금이 다름집에 비해 많이 나오신다면 필히 전기요금 계산해 보셔서 뭐가 잘못되었는지 알아보셔야 합니다. 한전에서도 잘못 계산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 서비쓰로 전기의 역사 이야기 해봅니당. 저도 자료 찾으러 한전홈피 갔다가 퍼온거에요 ^^ 2005년에 220볼트로 승압이 되었네요 정말 우리나라 엄청 발전 한거네요 눈부신 성장.. 저 어렸을때 밤마다 소등하고 맨날 정전되고 항상 촛불을 가지고 다녔다는...ㅠ,.ㅠ 오늘은 이만... 일요일 이라 마느님이랑 놀아 줘야함... ^^ 즐거운 일요일 잘 보네세요 내일은 상수도인입비에 대해서... ^^ |
우리가 원하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아마도 조금씩은 차이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제가 원하는 세상은 소박한 세상입니다.
조금은 덜 욕심부려도 되는 .... 가끔씩이라도 제자리에 멈춰서서 하늘 한번 쳐다볼수 있는 .... 조금은 덜 몸부림쳐도 되는 .... 사람과 사람간에 덜 상처주는 .... 주변의 나지막한 소리를 덜 외면할수 있는 세상입니다. 책속에 지식이 아닌 마음을 담을수 있기를 원했습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책을 준비하면서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미약하나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
|
산속 전기 안들어 오는곳에 1Kw급 독립형으로 구성하려고 하는데요. 현재 30W급으로 전등정도만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제품도 사용하려고 신규로 1Kw급 독립형 설치를 계획중 입니다. 태양광발전에 필요한 제품구성 및 배선연결작업등 전반적인 메뉴얼이나 설명서 있으면 부탁드리며 소요비용도 알고 싶습니다.(bottlejun2@daum.net)
현재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100w DC펌프 x 2시간) + (55w 32인치LED-TV x 6시간) + (380w전기장판 x 1개 x 6시간)
전기장판의 경우는 가을,겨울철에만 사용 할것 같고 현재 다른집에서 전기를 연결해서 AC펌와 형광등 LEDTV를 임시로 쓰고 있습니다. 1kw급으로 인버터연결해서 사용하면서 AC펌프까지 돌리기에는 무리인가요? 그래서 일단 DC펌프로 바꿔쓰는걸로 생각중인데...제생각에는 AC펌프가 계속 쓰는것이 아니라 물을 쓸때만 가동 되니까 사용도 가능할것 같은데... 뭐 제가 초보라서 잘 모르니 잘 아시는 분들 계시면 도움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2013/04/24 18:27 답글 만약 다른집에서 전기를 끌어다 쓸수 잇다면,그리고 그집이 아나로그전기게량기를 쓰고 잇다면,
2013/04/24 18:43 답글 좌측 메뉴중 강좌란을 보시면 "독립태양광발전기설치"가 있습니다. 네 말씀감사합니다 그런데 지금 옆집도 저희가 임시로 끌어쓰는집(현재 산속집에서 직선거리로 500m정도 떨어진 폐가)에서 요금 나누어 내면서 같이 끌어다 쓰는중 이라서 계통연계형은 설치도 할수 없습니다
|
'궁항리 농원개발·집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자료) 농업경영체등록 (0) | 2016.03.15 |
---|---|
(참고자료) 산림계획서 작성하면 세금 감면 (0) | 2016.03.15 |
(참고자료) 농막- 농막설치에 관한 규정 (0) | 2016.03.15 |
(참고자료) 산림청 소관법령 (0) | 2016.03.15 |
(참고자료) 유실수로 농업경영체 등록 (0) | 2016.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