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구·장비·귀촌사용기구

사료 자동급여기 만들기

無心이(하동) 2011. 8. 8. 09:39

자료 출처 : 섬진강변 흙집짓기(cafe.daum.net/kws1827)

 

우리집은 이정도까진 필요없지만 참 대단한 아이디어를 가지신 분의 자료를 참고로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겠습니다

=====================================================================================================================

 

사료 자동급여기 | 유기농정보
김원섭 조회 187 |추천 0 | 2011.01.11. 18:13

개사료 자동급여기 제작 - 가조립 까지| 통합 게시판

 
//

사료를 주는 장비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잔 머리는 굴리고 머리카락은 휘날리고(사실은 제 머리통이 꽤 큰 편입니다)     오랫만에 낮시간에 들어가서 오후내  이렇게 저렇게 하다가 일단은 큰틀은 잡았습니다.   구동장치(감속 모터는 옥션에서 중고로 25,000원) 구입,  급여장치는 몇일전 폐자재로 용접해서 만들어 놓고, 전기 콘트롤도 얼마전에 별도로 회로설계? 하고 타이머 사용해서 제작 마쳤고 이제는 각자 별도인 부품들을 조립해서 하나의 명령에 복종하게 만드는것 입니다. 오늘 혼자서 근무하면서 책상옆에 두고 이렇게 저렇게 조립해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상부사료통은 월요일에 캠프에 가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 자재가 캠프에 있어서~~

 

 골격은 조립식앵글로 조립하고 모터와 급여기는 별도이지만  바닥에 고정하고  축의 센타를 맞추어 동력 전달부분도 연결해야합니다.

 

 

  이판위에 사료 통을 만들어 붙여야 합니다. 사료 한자루(25kg) 정도는 들어가도록 해야 합니다

 여기에 전기 콘트롤을 부착하고  아래쪽에는 경사진 홈대를 설치해서 사료가 개밥그릇으로 흘러 내리도록 해야 합니다.  

 

사료를 위쪽 통에서 받아서 하부로 쏟아내는 회전축입니다.

 

 회전축이 들어가는 외통부분입니다. (폐자재를 이용해서 엉성합니다. 나중에 제대로 만들때는 정확한 치수로 설계해야합니다.)

 

 전기콘트롤부분입니다. 기계가 아무리 잘 만들어져도 콘트롤이 잘못되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겟지요.

기계를 주인뜻대로 작동 하도록 하는 두뇌부분입니다. 

자재: 누전차단기 1, 24시간 타이머1, 30초 타이머1, 마그네틱SW1, 1구콘센트2, 단자대1. 파이럿램프1, 셀렉타SW1, on OFF 버튼1, 외함 등입니다.

 

 

 임시로 설치한 상부 사료 통입니다(내일 캠프에가서 나무로 크게 만들어 올려야 합니다)

 

 대충준비는 되었습니다. 작동상태  매끄럽게 성공입니다.

 

콘트롤박스 제작을 빼고는 대부분 폐자재 중고자재입니다.

 

 

자동 급여기 제작시 참고
//

 

 

자동 급여기 신 모델이 나왔네요... 현재 설치 중이구요

마무리 되는 대로 전체적으로 다시 올릴께요.....

왼쪽것이 구형... 오른쪽이 신형입니다.

다른점은 가운데 생균제 급여 통이 추가 되었구요

급여 모터가 기존 앞에서 옆쪽으로 옮겨졌습니다.

이유는 더 정확한 급여량을 위해서죠....

 

 

 

구형은 모터는 끝에 사료 잔량이 남아 있습니다. 소들이 그것 먹을라고

혀로 항상 할타 버리죠.... 신형은 아예 소의 혀가 닿지 안도록

하였습니다.

 

 

양쪽 통이 사료 통... 가운데 조그만 통은 생균제 통입니다.

 

 

 

 

근데 신형의 에러가 있습니다.

지대 사료를 붓기가 불편합니다. 가운데 생균제 통을

넣기위해 기존 통 크기를 줄여 입구가 줄어들었습니다.

생균제 통 역시 입구가 너무 좁아 보통 20키로인

생균제를 붓기가 불편하죠...

또한 생균제 통은 부피가 3키로 정도 밖에 못담아서 20키로 한포를

뜯은 다음 3키로만 쏟고 다시 밀봉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기존통은 33센티... 새로운 통은 28정도 되네요....

저 작은 차이가 불편함과 안불편함의 차이입니다.

 

 

생균제 통 역시 입구가 8센티 밖에 되질 안아

붓기도 불편하구 통도 작아 생균제 한포를 다 부어 놓을 수 없죠...

 

 

 

요건 모터 카바 인데요.... 평상시엔 왼쪽 같이 개방 되어 있다가

모터가 돌아가면 오른쪽 처럼 반대로 돌아가면서

사료를 쏟아 줍니다. 기존보다 더 정확한 급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제가 직접 테스트는 안해봤지만

다른 농가에서 10번 테스트에 10그람 오차가 났다고 하네요...

10번에 10그람...무시할만한 정도라 생각됩니다.

 

..............

 

모터 커버나 더 정확한 사료를 주기위해 개조한  점,

생균제를 벌크에 석지 안고 따로 줄수 있게 만들었다는 점은

(생균제를 벌크에 석으니 생균제만 밑으로 내려오고

전체적으로 잘 석이지 안았습니다)

장점으로 생각되나

생균제 통을 새로 만듬으로써 입구가 좁아지고

생균제 통 자체가 너무 작다는 점은 고쳐야 할듯 합니다.

 

그래서....

일단 설치하고 다음 주 중으로 새로운 통으로 교체 하기로 했습니다.

전 저게 싫어서 기존의 넓은 입구 통 그대로에

생균제 통을 더 크게 만들어(한 25키로 들어 갈수 있는)

옆으로 따로 부착해서 탈부착이 가능한 모습으로

만들기로 했습니다.

항상 사람 머리 속에 그려진 모습과

실제로 설계한 모습이 많이 다르고

실제 제품으로 나오면 더더욱 달라 지더군요...ㅋㅋㅋ

 

다음주에 나온다니

그 모습이 나오면 또 올리겠습니다

 

 

 

 

트윈타이머에 대해서 잘몰라서 이카페에 문의드렸었는데 박가이버님께서 친절히 배선도까지 작성해주시더군요^^

회사일때문에 퇴근하고 틈틈히 만들다보니 이제서야 완성되었네요^^

배선도에서 수정할부분 좀더 수정하고 해서 제작하였습니다.많은 도움주신 박가이버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img_0155_kwangdak
컨트롤박스 , 기포기 , 급여통거치대 , 급여통 이렇게 4피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img_0135_kwangdak
img_0161_kwangdak
컨트롤박스 - 2개에 트윈타이머와 1개에 스위치로 구성되어있습니다.


img_0139_kwangdak
급여통 거치대 - 정수기용 솔레노이드벨브와 220v led를 달았습니다.

 

img_0163_kwangdak
각 부품들에 연결은 탈착이 자유롭도록 커넥터를 사용하였습니다.


img_0165_kwangdak

완성된 모습

 

<타임 조절 버튼 용도>

 

1번타이머(스위치쪽타이머) 윗쪽 - 솔레노이드벨브 컨트롤

1번 아랫쪽 - 2번타이머 on/off

2번타이머 윗쪽 - 기포기

2번타이머 아랫쪽 - led

 

<작동 순서>

1.스위치on ->2.솔레노이드 벨브 열림(쉬림프 급여,led도 켜져있음) ㅡ>3.솔레노이드벨브닫힘,led off(급여중단)ㅡ>4.기포기 on(급여되지않는 시간동안에 산소공급) ㅡ>5.기포기 off ㅡ>6.led on(기포기가 off되고 물살이 없어 쉬림프가 빛을보고 밑쪽으로 모임)ㅡ> 다시 2번으로~(이렇게 2~6 반복)

 

* 솔레노이드 on을 처음으로 보낸건 셋팅시간 외에 임의로 주고 싶을때 스위치만 껏다켜면 바로 솔레노이드on 단계로 리셋되어 작동하기에 별도로 솔레노이드 단독 스위치를 만들어주지 않아도 되어서입니다. 

 

<시간설정>

 

1번 윗쪽(솔레노이드) - 쉬림프 급여량에 따라서 적당히~(각 액션당 시간은 1초에서 3시간까지 가능) 

1번 아랫쪽(2번 타이머 on/off) - 기포기와 led 각각에 원하는 시간을 더한값

 

2번 윗쪽(기포기) - 원하시는만큼^^;;

 

2번 아랫쪽(led) - 원하시는 시간보다 약간길게~이유는 1번 타이머와 2번타이머에 돌아가는 타이밍이 딱 맞아떨어진다면 문제가없겠지만 만약에 틀린경우 1번타이머가 허락한 시간보다 짧은시간에 2번타이머에 두가지 액션이 끝나버리면 솔레노이드가 작동이 되기전에 기포기가 한번더 작동해버려 모여있던 쉬림프가 흩어진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벨브가 작동해버릴수도 있습니다.이것을 방지하기위해 led 타임은 원하는 타임보다 좀더 길게 해놓았습니다.(길게해놓아서 설정시간만큼 작동이 되지못했더라도 동작이 솔레노이드 단계로 넘어가면 2번타이머는 리셋되기에 다음번 액션에서는 그전에 남은 시간이 영향을 주지못하고 기포기부터 정상작동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급식기(사료 + 생수병을 뒤집어사용)는 자주 물을 공급해주는 어려움등...

사료통이 작아 사료를 자주 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이번에 제작한 급식기는 물이 무한으로 공급 되기때문에 물은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수도꼭지로 바로 연결하여 사용하며 견이 물을 일정량만큼 먹게 되면 먹은만큼 무한(연속)으로 공급이 됩니다...

사료역시 한포(15kg~20kg)정도 저장할수 있는공간이 있어 약~ 20일~30일정도에 한번씩 사료를 공급해주면 됩니다...

 

일단 한정 수량만 만들어보고 호응과 평가가 괜찮으면 상품화하는것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단 사진으로 소개드립니다....

뚜껑은 아직 안만들었습니다.... ㅎ

 

 

 

일단은 2개를 제작하였습니다....

제가 사용하여 보고 보완도 해야하고 등등등.... 앞으로 할일이 많네요....

세로(앞뒤) 사이즈만 틀리고  급여방식등은 같습니다...

참고로 디자인이 허접한데 시험적으로 사용하여 보완하고자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물통의 사진입니다...

견이 물을 먹으면 먹는만큼 다시 공급이 됩니다....

 

 

대충 만들어서 끝마무리는 많이 미숙합니다...

 

사용하면서 개선해야할점등... 보완해야할사항등... 디자인등은

최종적으로 한결 깔끔하고 멋스럽게 디자인 및 보완하여 제작할것입니다....

 

 

 

가시나(포인터강아지)가 사료먹는 사진입니다... (견이 움직여서 사진이 이상하네요)

강아지의 높이에 맞게 설치하였습니다...

성견이 되면 급식통을 위로 올릴수 있습니다...

먹는량이 브리타니보다 많아서 앞뒤로 사이즈를 크게 제작하여 보았습니다...

 

 

 

스크류컨베이어(Screw conveyor)

 

● SHORT PITCH SCREW

- 정량공급, 냉각, 가열, 건조 등의 저속이송 컨베이어에 사용.


● STANDARD PITCH SCREW

- 수평이나 경사각이 20도 이하인 이송 컨베이어에 사용.


● LONG PITCH SCREW

- 대용량 및 흐름성이 좋은 원료의 공급에 사용.


● DOUBLE PITCH SCREW

- 대용량 정량 공급용 피더 및 콘베이어에서 미끄러지며 많은 양을 이송.


●DOUBLE SHORT PITCH SCREW

- 원료의 저속 정량 공급용 컨베이어 및 피더.


●STEPPED PITCH SCREW

- 특수정량 공급용 컨베이어에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