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짓기·전원주택·임야개발 등

목조주택단열성능 향상 방법

無心이(하동) 2020. 2. 27. 09:02

아래는 지성카페의 농목수 경북 영주님의 글을 가져온 것임(https://cafe.naver.com/kimyoooo)

================================================================================


목조주택에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1).벽체의 단열성능을 높이는 방법:

 


1.벽체두께를 두껍게 시공하고 두꺼운 단열재를 넣어서 시공하는 방법

---2x6 벽체 대신에 2x8 이나 2x10 벽체를 시공하고 그에 맞는 규격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2.이중 스터드 벽체를 시공하고 단열재를 두껍게하는 방법

--- 2x4 벽체를 더블로 시공하고 두꺼운 단열재나 R13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3.외단열을 시공하는 방법.

--- 2x6 벽체 외부에 XPS 혹은 EPS 등의 단열재를 덧대고 그 외부에 외장마감재를

      시공하는 방법.

 

4.내단열을 시공하는 방법.

--- 벽체 내부에 EPS나 판상형에 단열재를 설치하고 내부 마감재로 시공하는 방법


*** 페시브 하우스에서는 경량목조 내부 골조에 내부 방습지를 설치하고 테이핑후에 역방으로

      --- 골조 스터드가 수직으로 세워져서 그 사이에 단열재를 넣고 내부방습지를 시공하고

     테이핑한후에 수평으로 투바이투를 일정간격으로 시공해서 열교현상을 점열교로 줄이는 --- 

      2x2 목재를 시공하고 단열재를 그 높이만큼 시공하고 내부를 마감하는 방법(이 방법은

      내부 방습지를 먼저 시공하고 나서 수전이나 전기 배관작업을 하므로 기밀에 우수함)

 

5.단열 성능이 높은 단열재로 시공하는 방법

--- 밀도가 높은 R벨류션이 높은 단열재나 우레탄폼 등에 제품으로 시공해서

      단열성을 높이는 방법.

 


2) 지붕의 단열 성능을 높이는 방법

 


1.벽체 스터드 길이를 길게 시공하고 천정 장선 설치후 그 하부에 천정 장선을 재시공해서

    천정 단열을 이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2.지붕 서까래 사이에 R-30을 사용하고 지붕위에 외단열을 시공하고

  지붕 마감재를 시공하는 방법.

 

3.서까래 하부에 내단열을 설치 시공하는 방법.

 

4.서까레 사이에 단열 성능이 높은 단열재를 사용 시공하는 방법.

 


3) 바닥부분을 단열재로 처리하고 바다과 벽체 부분이 접하는 부분을 단열하는 방법

 


그밖에 여러 다양한 방법이 있답니다.

 


현대의 모든 주택은 모두 어느정도의 단열을 합니다.

단열재가 없는 상태에서 시작해서 비교하면 단열재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초기에는 굉장히

많은  단열재의 효과로 열손실을 줄일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으로 단열성이 높아지면 ,

투입되는 단열재에 비해서 단열성능의 향샹으로 개선되는

열솔실 효과는 많이 떨어진답니다.(이는 캐나다우드 자료에서 검증돤것임)

즉 단열재를 지속적으로 늘려가는 것 보다는 투입되는 비용대비 성능의 적정선을 찿아

비용대비  최대의 효과를 낼수 있는 방법으로 나가는 것이

나무집공작소가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이라  할수 있답니다.

 


그렇다면 단열재를 두껍게 시공하는 방법과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중에서 어느것을

우선 고려 해야 할까요?

 

기밀성이 떨어지면 실내의 습한 공기가 구조체 내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증가하고 구조체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여 목주조부재에

곰팡이 발생의 원인이  된답니다.

 


따라서 구조체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완전히 단열재로 채우지 않는

한 유리섬유와 같이 공기가 유통할수 있는 단열재는 아무리 많이 넣거나

규격이 상위인 단열재를 사용해도 기밀성이 낮으면 거의 소용이 없답니다.

 


따라서 한정된 예산이나 일정 등의 이유로 동시에 기밀성과 단열의 두마리 토끼를 잡기 어렵다면

당연히 일순위는 기밀성에 두어야 할것입니다.

 


그 기밀성을 향상시키면서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과 겨울이 반대로 작용하는 기후조건에서는

내부에 방습지는 캐나다 등에서처럼 쉽게 비닐류에 증기막보다는 전용내부용방습지를 사용하고

그 겹치는 부분을 테이핑하는 방법이 될것입니다.

 


최근 북미에서나 유럽의 연구에 의하면 OSB 자체도 기밀성이 낮기 때문에 OSB 의 넓은 면을

통하여 공기가 통하게 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그만큼 기밀성의 향상이라는 문제의 해결이 어렵다는 것이랍니다.

 


구조부재와 구조부재가 접하는 사이,OSB와 OSB 판재 사이, 바닥과 벽 사이,벽과 바닥 사이,

벽체와 지붕사이,벽과 벽의 모서리,처마,굴뚝 설치 주변,문이나 창문 주변,층과 층사이 등의

모든 부재들의 불연속선(하나의 부재가 아니고 2개 이상의 부재들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조치가 필수 랍니다.

 


연속적으로 잘 시공된 기밀막은 바람이나 굴뚝 효과 등으로 인해 생기는 누기를 막아서 공기를

통제하고,단열이 되는 부분에 시공된 수증기막(온도 차이에 따른 결로 방지를 위해서 설치)은

수분에 흐름을 적절히 통제 한답니다.

 


주택을 짓는 다는 것은 단순히 건축자재를 연결하고 조합하는 것이 아니라 열과 공기,그리고

수분의 흐름을 이해하고 기후와 그 지형적 특성과 거주자의 생활 습관등을 고려한 시스템을

완성시키는 것이랍니다.

특히 경량목조주택은 과학이랍니다.

 


즉 열과 공기,그리고 수분의 흐름을 통제하고 적절히ㅡ환기하여 거주자의 건강을

보장하는 주택이 시스템주택인 것입니다.

 

그리고 건물의 외피가 이 흐름을 통제하는 주요주체가 되는 것이고요.


건물 외피의 기능은 수분의 차단(Moisture Barrier),공기 이동의 차단(Air Barrier),그리고

열 이동의 차단(Thermar Barrier), 이랍니다.

 


수분 흐름을 통제하지 못하면 내부부재에 곰팡이가 생기고,공기 흐름을 통제하지 못하면

30~40%의 열손실이 발생한답니다.

 


창과 창문 주위의 열 흐름을 통제하지 못하면 결로가 생기고요.

 


그렇다면 무엇으로 이러한 문제를 막을수 있을가요?

 


연속적인 단열은 전도,대류,그리고 복사에 의해서 생기는 에너지 손실을 통제할수 있답니다.

중공층에 단열 하는 목조주택은 연속적인 단열을 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수퍼 - E 하우스의 다양한 디테일을 통해서 그 문제를 해결할수 있답니다.

 


수퍼 - E 하우스를 정의하는 5개의 주요 특징

 

-높은 에너지 효율

-물 절약

-높은 품질과 내구성

-친환경 건축자재

-더 건강하고 더 안락한 실내환경 이랍니다.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해서 만든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가진

안락한 실내 환경의 주택입니다.

쉽게 말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거주자의 몸에도 좋은 집을 뜻한답니다.

 


이제부터 나무집공작소---

http://cafe.daum.net/countrywoodhome

(제가 운영하는 목조전문시공업체)에서도 수퍼 - E 하우스로 향해서

한발한발 나아가서 결국 궁극에 목표인 넷제로에너지 주택으로 가려 한답니다.

 

목조 시공을 업으로 하시는 분들은 누구나 생각해보고 공부하고 추구하는 봐일것입니다.

이 업에 종사하시는 모든분들이 모두 늘 초심에 자세로 배우고 또 배운것을  실천에 힘쓰는

그러한 분들이 더 많아지리라 믿는답니다.